2025/07/05 3

해외 주식 세금 대상에서 빠지기 쉬운 ‘자기 계좌 간 이동’ 구조

해외 주식을 여러 계좌에 나누어 보유하고 계신 분들은 자산 운용의 편의나 리밸런싱 등을 이유로 A 계좌에서 B 계좌로 동일 주식을 옮기는 자기 계좌 간 이동을 자주 수행하곤 합니다. 이 과정에서 투자자 대부분은 매도나 매입이 수반되지 않았기 때문에 세금 신고 의무도 없을 것이라 판단합니다. 하지만 이는 해외 주식과 관련된 한국 세법, 특히 과세 대상 소득의 실현 시점과 귀속 기준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오해일 수 있습니다.단순한 계좌 간 이체라고 해도, 해당 거래가 제3자를 통한 수탁 방식이거나, 외환 이체 흐름이 동반되었거나, 거래 가격이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세법상 '양도', '기타소득', '증여' 등 다양한 과세 이슈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동일 명의 간 이체인 줄 알았으나, ..

해외 주식 세금 대상인 ‘오버나이트 레버리지 상품’ 과세 구조 분석

레버리지 상품은 특정 기초자산의 움직임에 대해 두 배 또는 그 이상의 비율로 수익 또는 손실이 반영되도록 설계된 구조로, 일반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주식 시장에 상장된 2배 이상의 레버리지 ETF, 오버나이트 레버리지 상품은 단기 투자 수단으로 광범위하게 활용됩니다. 이는 익일 시가로 수익이 결정되는 형태의 오버나이트(Overnight) 전략이 주된 방식입니다.그러나 이러한 상품에 투자해 수익을 올렸을 경우, 한국의 세법상 과세 항목이 정확히 어디에 속하는지를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고 있으며, 실무 현장에서도 과세 처리에 혼란이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미국에서 발행된 오버나이트 기반 레버리지 ETN, ETP, Swap-Note 형태의 상품들은 실질적으로는 파생금융상품이지만,..

해외 주식 세금 신고 전 반드시 점검해야 할 실현일 vs 결제일 기준 차이

해외 주식에 투자하고 수익이 발생하면, 양도소득세나 배당소득세 신고를 위해 해당 수익의 원화 기준가액을 산정하게 됩니다. 이때 투자자는 해외 브로커 또는 국내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매매 내역서에 표기된 체결일(거래일)과 결제일(Settlement date) 중 어느 쪽을 세무상 기준일로 삼아야 하는지를 고민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는 결제일 기준의 수익 내역을 보고 세금 신고를 준비하지만, 한국 세법은 명확하게 ‘실현일 = 체결일’을 기준으로 수익을 판단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무사조차 결제일 기준으로 환율을 적용해 계산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국세청의 경정처분 또는 추징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특히 해외 주식은 통화가 외화(USD, EUR, JPY ..